02 네트워크 기본 용어2
02 네트워크 기본 용어2
1. 사설 네트워크 / 공용 네트워크
구분 | 설명 | 예시 |
---|---|---|
사설 네트워크 | 제한된 사용자만 접근 가능한 폐쇄형 네트워크 | 회사 내부망, 가정용 공유기 |
공용 네트워크 | 누구나 접근 가능한 개방형 네트워크 | 인터넷, 공공 Wi-Fi |
2. LAN / WAN / MAN
구분 | 역할 | 특징 | 예시 |
---|---|---|---|
LAN | 내부 장치 간 빠른 통신 및 자원 공유 | 빠르고 설치 비용이 적음, 제한된 지역 내 사용 | 가정, 학교, 회사 내부망 |
MAN | 도시 규모 네트워크 간 연결 제공 | 통신사 기반, 중간 규모, 공공기관이나 지역 커버 | 지역 통신망, 시청·구청 네트워크 |
WAN | 국가 또는 전 세계 통신 제공 |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, 느리지만 범용성 높음 | 인터넷, 국제 기업망, VPN |
3. 프로토콜
1. 네트워크 구조 / 프로토콜
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교환하려면 표준화된 방식이 필요하며, 이를 네트워크 구조라고 함.
- 네트워크 구조는 복잡한 시스템을 여러 계층과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설계 틀
- 통신 과정에서는 데이터 형식, 전송 방법, 절차 등 세부 규칙이 필요한데, 이러한 규칙을 프로토콜
2. 주요 프로토콜
계층 구분 | 계층 이름 | 주요 프로토콜 종류 |
---|---|---|
7계층 | 응용 계층 | HTTP, FTP, SMTP, POP3, IMAP, DNS, SNMP, Telnet |
6계층 | 표현 계층 | TLS, SSL, MPEG, JPEG |
5계층 | 세션 계층 | NetBIOS, RPC, PPTP |
4계층 | 전송 계층 | TCP, UDP |
3계층 | 네트워크 계층 | IP, ICMP, IGMP, IPsec |
2계층 | 데이터링크 계층 | Ethernet, ARP, PPP, Frame Relay |
1계층 | 물리 계층 | RS-232, DSL, IEEE 802.11 |
4. OSI 모델, TCP/IP 모델
1. OSI 모델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
- 국제 표준화기구(ISO)에서 제정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7계층 구조 모델
- 각 계층은 명확한 역할과 기능을 분리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이해하기 쉽게함.
- 물리, 데이터링크, 네트워크, 전송, 세션, 표현, 응용 계층으로 구성.
- 주로 이론적이고 교육용으로 활용되며, 실제 프로토콜 구현과는 차이가 있음
- 계층
계층 번호 | 계층 이름 | 주요 특징 |
---|---|---|
7 | 응용 계층 |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|
6 | 표현 계층 | 데이터 형식 변환, 암호화, 압축, 표현 방식 관리 |
5 | 세션 계층 | 통신 세션 설정, 유지, 종료 및 동기화 관리 |
4 | 전송 계층 | 종단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, 흐름 제어, 오류 복구, 포트 번호 사용 |
3 | 네트워크 계층 | 논리적 주소(IP) 지정, 패킷 전달 및 라우팅, 네트워크 간 연결 관리 |
2 | 데이터링크 계층 | 물리적 연결의 신뢰성 제공, 프레임 구성, 오류 검출 및 수정, MAC 주소 사용 |
1 | 물리 계층 | 비트 단위 전송, 전기적·광학적 신호 규격과 매체 정의, 하드웨어 중심 |
2. TCP/IP 모델
- 미국 국방부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연구를 위해 만든 4계층 모델이다.
- OSI 모델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프로토콜 집합을 기반으로 한다.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, 인터넷, 전송, 응용 계층으로 구성.
- 실제 인터넷과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표준으로 사용함.
- 계층
계층 번호 | 계층 이름 | 주요 특징 및 역할 |
---|---|---|
4 | 응용 계층 |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통신,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|
3 | 전송 계층 | 종단 간 데이터 전송, 신뢰성 있는 전송과 비신뢰성 전송 지원 |
2 | 인터넷 계층 | 논리적 주소 관리, 패킷 라우팅과 전달 |
1 |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| 물리 매체를 통한 비트 전송, 하드웨어 주소 제어 |
3. OSI 모델과 TCP/IP 모델
- OSI 모델
- 네트워크 설계의 이론적 모델
-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계층으로 엄격하게 나누어, 각 계층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고 전체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‘이론적 프레임워크’
- 교육, 설계, 표준화 논의에 적합하고, 문제 해결 시 각 계층별 역할을 따로 분석하기 편함
- TCP/IP
- 인터넷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토콜 모델
- TCP/IP 모델은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집합을 중심으로 4계층으로 단순화해서 접근.
- 현실적인 프로토콜 구현과 네트워크 운영에 맞게 구성됐고, 프로토콜이 겹치거나 계층 간 경계가 모호한 부분도 있지만, 실용성과 효율성을 중시함.
두 모델 계층 비교
TCP/IP 계층 이름 OSI 계층 번호 OSI 계층 이름 응용 계층 7 응용 계층 응용 계층 6 표현 계층 응용 계층 5 세션 계층 전송 계층 4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1 물리 계층
5. 캡슐화 / 역캡슐화
1. 용어
- 헤더(header) : 데이터를 캡슐화 하거나 역캡슐화할때 데이터 앞 덧붙여지는 부가 정보
- 캡슐화(encapsulation) : 헤더를 덧붙이는 과정
- 역캡슐화(decapsulation) : 헤더를 제거하는 과정
-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(Protocol Data Unit;PDU) : 각 계층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단위
2. 단계
구분 | 데이터 구조 | OSI 계층 |
---|---|---|
메시지 | 응용헤더 + 사용자 데이터 | 응용 계층, 표현 계층, 세션 계층 |
세그먼트 | 전송계층 헤더 + 메시지 | 전송 계층 |
패킷 | 네트워크 계층 헤더 + 세그먼트 | 네트워크 계층 |
프레임 | 데이터링크 계층 헤더 + 패킷 + 트레일러 | 데이터링크 계층 |
비트 | 전기/광학 신호 (0과 1의 연속) | 물리 계층 |
3. 캡슐화 / 역캡슐화 목적
이유 | 설명 |
---|---|
책임 분리 | 각 계층이 자기 기능만 책임지고 독립적으로 작동 |
유연성 | 계층 간 영향 최소화로 확장성/유지보수성 증가 |
호환성 | 이기종 장비 간 통신 가능 |
경로 및 신뢰성 확보 | 헤더를 통한 제어정보 전달 (주소, 포트, 오류검사 등) |
역캡슐화 가능 | 수신 측에서 계층 순서대로 해석하여 원본 복원 |
6. 유니캐스트 / 멀티캐스트 / 브로드캐스트
방식 | 설명 | 특징 | 예시 |
---|---|---|---|
유니캐스트 | 1:1 전송 | 대부분의 인터넷 통신 | 웹 요청, 이메일 |
멀티캐스트 | 1:선택된 다수 | 특정 그룹에게만 전달 | IPTV, 실시간 스트리밍 |
브로드캐스트 | 1:모두 | 동일 네트워크에 전체 전송 | ARP 요청, DHCP 요청 |
7. 반이중 / 전이중 통신
통신 방식 | 데이터 흐름 | 특징 | 예시 |
---|---|---|---|
반이중 | 양방향 (동시 불가) | 한 번에 한 방향 | 무전기 |
전이중 | 양방향 (동시 가능) | 송수신 동시에 | 전화, 채팅 앱 |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